새벽배송 금지논란이 주는 메시지.. "노동자를 위하는 일이 노동자를 해하는 일이 될 수 있다"
최근 IT벤처업계를 흔들었던 이슈 중 하나는 바로 쿠팡의 새벽배송 금지 논란입니다. 해당 이슈는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는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에서 시작됐습니다. 여기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산하의 전국택배노조가 "오전 0~5시 택배 배송을 제한하자"고 제안한 것이죠. 택배노조의 주장은 (1) 장시간 야간노동이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을 높이고 (2) 암 발병과 수면장애, 우울증 등 심각한 건강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에 근거합니다. (3) 아울러 최근 들어 야간재해 비율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했는데요. 근로복지공단이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10.1%에 불과했으나 2023년 19.6%로 급증했습니다. (4) 각종 설문조사에도 새벽배송 기사 10명 중 6명이 업무를 하면서 육체적 부담이 크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기에 <88만원세대> 공저자로 알려진 박권일 작가가 개인 SNS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히자 논쟁이 뜨겁게 타올랐습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출신의 정치인들이 지원사격에 나섰고요. <한겨레>, <경향신문> 등 이른바 진보매체 또한 새벽배송의 폐해를 다루는 기사를 쓰면서 지지의 스탠스를 취했죠. 새벽배송은 사회적 문제를 넘어 정치적 문제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그러면 앞으로 새벽배송은 못하게 되거나 강하게 제재를 받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