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자녀를 완성시키지도, 파괴시키지도 못한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양동신님의 기고입니다. 사회생활을 시작하면 대부분의 시간을 직장에서 보내게 됩니다. 하지만 결국 직장생활이라 하는 것도 개인의 삶을 지지하기 위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게 되면 제한된 시간으로 인해 고민은 깊어지게 됩니다. 예전 70-80년대라면 아빠는 일만 하고 엄마는 양육을 하는 시스템이었겠지만, 현대를 살아가는 대부분의 가정은 그렇지 않죠. 아빠가 외벌이라 하더라도 최대한 가정에 서포트해야 하며, 맞벌이라면 사실 아빠 엄마 구분은 별 의미가 없어지게 됩니다. 최근에는 코로나 사태 때문에 재택근무가 활성화되었는데, 덕분에 일을 하면서도 양육을 해야 하는 상황은 더 일반화되고 있습니다. 굳이 이런 부모의 입장에서뿐만 아니라, 성인이 된 자녀 입장에서도 전통적인 양육의 관점은 한번쯤 되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학계에서는 끊임없이 많은 가설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양육가설 역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오늘은 전통적인 양육가설을 뒤집는 이야기를 한번 전해보고자 합니다. 부모의 고민 아이를 낳기 전까지는 아이가 온전히 건강하게 나오기만을 기대합니다. 하지만 아이가 세상에 나오고 나면 그 건강함이 조금씩 복잡해지기 시작하지요. 수유는 잘 되고 있는지, 숨은 잘 쉬면서 숙면을 취하는지, 소화는 잘하고 있는지 들여다보게 됩니다. 그렇게 배밀이를 하고, 뒤집기에 성공하면 부모는 뛸 듯이 기쁩니다. 한 걸음 한 걸음 발을 떼며 걸음마를 시작할 때는 또 어떤가요. 세상의 모든 행복은 그렇게 아이가 신체적으로 완성되어가는 것에서 느끼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