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는 그저 저커버그의 취미일 뿐일까요?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최호섭님의 기고입니다. 지난 몇 년 동안 코로나19로 일상생활이 정체되면서 이전에 없던 새로운 기술들이 툭 튀어나오기보다는 이전에 있던 기술들이 개념적으로 다시 가다듬어지는 경험들이 더 많아진 것 같습니다. 그 사이에 메타버스, 웹 3.0, NFT 등 인터넷과 모바일, IT를 잇는 여러 가지 새로운 트렌드들이 쏟아졌지요. 기술적 흐름을 단어로 규정해야 하는 마케팅적 부담, 혹은 습관 때문인지 새로운 듯 새롭지 않은 많은 것들이 트렌드로 입에 오르내리는 것이지요. 조금 답답하고, 부끄러운 면도 있긴 한데 사실 저는 이 개념들이 잘 와닿지 않습니다. 기술적으로는 원래 있던 것들이고, 개념적으로도 굳이 새로운 용어가 붙을 말인가 하는 생각입니다. 공부가 부족한 탓일 테고, 흐름에 민감하지 못한 탓일 겁니다. 이 중 아마 가장 큰 관심을 받고,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 메타버스일 겁니다. 메타버스는 과연 뭘까요? 간단해 보이지만 가장 답하기 쉽지 않은 질문이기도 합니다. 이 메타버스에 가장 진지하게 접근하는 기업을 꼽으라면 메타를 들 수 있습니다. 마크 저커버그 CEO는 지난해 '페이스북'이라는 오랜 이름을 버리고 아예 회사의 이름을 '메타'로 바꾸었지요. 아직도 입에 잘 붙지 않고 낯선 느낌입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라는 굵직한 비즈니스, 그리고 이 회사의 본질이었던 소셜미디어에 대한 정체성을 내려놓고 메타버스를 중심에 놓겠다는 의지가 새 이름에 그대로 녹아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메타의 '메타버스 중심 전략'이 과연 적절한가 하는 지적도 나옵니다. 특히 최근의 소셜미디어에 대한 불안한 분위기와 트위터의 혼란에 더불어 메타도 직원 수를 크게 줄이기로 하면서 그동안의 불안감이 현실로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메타는 정말 메타버스로 가고 있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