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창패, 초창패, 창도패..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을 알아보자
창업에 앞서 준비해야 할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자본금일 텐데요. 스타트업이 자본금을 마련하는 데 정해진 방법이란 건 사실 없습니다. 창업자가 퇴직금으로 자본금을 마련했다는 이야기부터 대출을 받아 시작하기도 하고요. 주변 지인들의 도움을 받아서 시작하는 경우도 종종 있죠. 어떤 이는 창업하기도 전에 투자자들이 돈을 들고 기다리고 있단 꿈같은(?) 사례도 존재합니다. 이런 경우는 사실 회사의 잠재력이나 프로덕트의 성장 가능성보다는 창업자에 대한 믿음 비슷한 것을 기반으로 이뤄지죠. 때문에 창업자의 과거 경력과 환경, 업종 등에 따라서 자본금의 규모 또한 천차만별입니다. 그럴듯한 MVP(Minimum Viable Product)가 이미 나온 상황이라면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활동을 하게 되는데요. 아무리 초기 스타트업 전문 투자사라고 해도 최소한의 가능성은 확인해야 투자할 수 있으니까요. 극초기 스타트업은 사실.. 투자받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또 투자를 받는 것 자체가 큰 부담이 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참조 - 투자 안 받고 성장한 스타트업의 공통점 세 가지) 이때 고려해 봄 직한 방법이 바로 '정부지원금'입니다. 우리나라는 정부지원금 제도가 여럿 존재합니다. 현금성 지원은 물론 창업자를 위한 각종 교육 프로그램과 컨설팅 등이 존재하기도 하죠. 실제로 많은 분들이 정부 지원을 통해 창업에 나섰으며 지금도 내년 사업에 지원하기 위해 많은 이들이 준비하고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