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수 2배, 급증한 판관비.. 빗썸이 주총에서 밝힌 전략
2025년 3월 31일(월) 빗썸의 주주총회가 열렸습니다. 다소 엄숙한 분위기에서 주주총회가 시작되었는데요. 이재원 대표 및 빗썸 관계자들이 주주총회에 참석했습니다. 주주총회는 약 30분 만에 빠르게 종결되었습니다. 안건에 대해 반대하는 주주가 있다면 이름과 의결권 수를 말하면서 의견을 말해야 해서 상대적으로 주식 수가 많은 주주들 위주로, 안건에 대한 질문이 이루어졌습니다. 그렇게 빠르게 부의안건이 통과되었고 바로 Q&A 시간이 이어졌습니다. 질의응답 시간 초반에는 앞선 분위기로 인해 주주분들이 보유 주식 수를 말하면서 빗썸에 질문을 하였으나, 계속해서 진행되는 질의응답 과정 속에서 보유 주식 수를 말하지 않고,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주총에서 주주들이 빗썸에게 한 질의사항 및 빗썸의 답변에 대해 정리했으며 또한 2024년 실적이 어땠는지도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빗썸의 2024년 실적 요약 빗썸의 2024년 매출액은 약 4964억원 영업이익은 약 130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2023년의 매출액은 약 1358억, 영업이익은 약 -149억 이었으니 전년 대비 매출은 약 265% 성장하고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된 것입니다. 그리고 역대 2번째로 높은 매출이죠. 빗썸은 그 이유 중 하나로 '가상자산 시장의 회복과 투자 심리 개선'을 말했습니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국내 1위 가상자산거래소 두나무와의 매출 격차를 좁혀다는 것인데요. 2021년과 2022년에 두나무와 빗썸의 매출 비중은 약 4대 1로 두나무가 압도적이었습니다. 2023년에 그 추세는 더 강화되어 두나무의 빗썸의 매출이 거의 9:1 수준까지 차이가 벌어졌습니다. 그런데 올해 78 : 22로 격차를 줄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마냥 웃을 수 만은 없는 것이 2024년 기준 영업이익률이 26.3%입니다. 적자를 낸 2023년 제외하고 흑자를 낸 최근 5년 중 가장 낮은 수치이죠. 그 이유는 손익계산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3년 판매관리비가 약 1507억원이었는데 2024년 판매관리비가 약 3655억원이었습니다. 전년 대비 2148억원 정도 늘어난 것인데요. 2023년 대비 2024년에 비용이 늘어난 상위 10개의 항목을 살펴보면 판매촉진비, 지급수수료. 급여, 광고선전비 순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판매촉진비는 약 1538억, 지급수수료는 약 251억, 급여는 약 236억 광고선전비는 약 226억원이 늘어났는데요. 2024년에 판매촉진비와 광고선전비를 도합 약 1800억을 더 사용하면서 영업이익률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정기주주총회 보고서에서 바로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거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모션과 서비스 개선을 통해 이용자 수가 약 94.6% 증가했습니다. 거래량 증대를 위해 차별화된 프로모션과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운영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