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칭'을 앞둔 스타트업이 꼭 알아야 할 것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길진세님의 기고입니다. 신사업 개발업무를 오래 하다 보면 본의 아니게 다른 분들의 사업을 평가해야만 하는 때가 옵니다. 협업 요청때문에 자세히 들여다보는 경우도 있고 외부 기관이나 국책사업의 평가를 요청받는 경우도 있죠. 저도 그다지 잘난 것 없으면서 다른 분들의 사업을 짧은 시간 안에 평가하는 일은 그 무게감에 곤혹스러울 때가 많은데요. 대부분 본인의 인생을 걸고 사업을 하는 분들이 지원하셨을 테니, 더 신경 써서 보고 피드백해야 한다는 압박이 늘 들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한편으론 안타까울 때도 많습니다. 굉장히 좋은 서비스일 것 같은데 왜 저렇게 표현을 하는지.. 모르는 사람 입장에서 궁금한 건 따로 있을 것 같은데 왜 중요하지 않은 걸 설명하는데 많은 페이지를 할애하고 있는지.. 짧은 발표 시간은 속절없이 지나가고, 질의응답만으로 궁금증을 풀지 못한 채 가능성 있는 스타트업을 놓치는 경우도 많죠. 이러한 아쉬움을 담아 그런 자리에 설 수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1) 가능한 한 문장, 길어도 세 문장 안에 업무 협업으로 대기업과 1:1로 미팅을 하는 경우라면 상대방도 웬만해선 미리 송부한 회사소개서를 읽어보고 나올 겁니다. 문제는 짧은 시간 안에 회사의 강점을 알려야 하는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