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의 '중국 리스크'는 이제 시작입니다. 9가지 질문들
라인야후 사태를 취재하고 연달아 기사를 쓰면서 '만약 이와 비슷한 일이 한국에서 일어난다면 어떻게 될까?'라는 생각을 했었는데요. 자국 국민들의 개인정보가 해외로 유출 혹은 이관되는 것에 대해서는 어느 나라 정부든, 국민이든 매우 강한 거부감을 가지기 마련이기 때문이죠. 라인야후 사태도 지난해를 비롯해서 몇 차례 반복됐던 일본 이용자들의 개인정보 국외 유출 사건이 일본 정부에게 개입의 명분과 계기를 만들어줬고요. 그리고 라인야후 사태가 어느 정도 소강 국면에 들어선 지 얼마 되지 않은 지금 한국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재연되려 하고 있는데요. 사실 유출 논란의 대상이 된 개인정보의 양과 질은 라인야후의 사례와는 비교할 수도 없을 정도죠. 외국(중국)계 자본이 지분의 상당 부분(32%)을 소유하고 있는 국내 기업에서, 자신들에게 돈을 댄 외국 기업의 계열사로 542억건의 개인정보가 이용자들의 동의 없이 무단으로 새어나갔다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습니다. 단순한 의혹 수준이 아니라 금융감독원이 현장감사를 통해 공식적으로 조사하고 발표한 내용이죠. 카카오페이 이야기입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카카오페이를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개인정보 무단 국외 유출 논란'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이미 많은 분들이 뉴스를 통해서 이번 사태의 얼개를 잘 파악하고 계신데요. 그런 만큼 이번 기사에서는 좀 더 나아가 카카오페이가 중국 앤트그룹(알리페이의 모회사) 과 투자와 사업 면에서 매우 밀접하게 협력할 수밖에 없었던 근본적인 이유, 앞으로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되는지 등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이해하시기 쉽게 9개 항목의 문답식으로 정리했습니다. 일단 사태의 개요에 대해서부터 빠르게 훑어보겠습니다. 1. 어떤 일이 벌어진 건가요? 지난 8월 13일 금융감독원은 현장감사를 통해 카카오페이가 '카카오페이에 가입한 전체 고객의 개인신용정보를 고객의 동의 없이 중국 핀테크 결제업체 알리페이에 제공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는데요. 누적 4045만명의 이용자 개인정보 542억건을 2018년 4월부터 현재까지 제공해 왔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입니다. 카카오페이가 알리페이에 제공한 정보에는 카카오 계정 ID, 휴대폰 번호, 이메일 및 카카오페이 가입내역과 카카오페이 거래내역 (잔고, 충전, 출금, 결제, 송금내역) 등이 포함되고요. 카카오 계정 ID와 휴대폰 번호, 이메일은 해시처리(정보를 비가역적 코드로 변환해 암호화하는 기술)한 뒤에 전달했고, 카카오페이머니와 등록 신용카드 거래내역은 최근 7일 동안의 내역을 제공해 온 것으로 파악됐습니다.